궁금증 해결해요~

유통기한 지난음식 먹어도될까?

은봉봉이 2020. 4. 17. 16:51


유통기간이 지난 음식을 보면 먹지 말아야지 아깝다 하고 푹 하고 버리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버리는 순간에도 아까워서 그냥 먹을까 싶지만 서도 탈이라도 날까봐 버리게 됩니다. 정말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 먹지 말아야할까요? 지금부터 유통기한에 진실에 대해 알아가 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 정말 상한 음식일까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유통기한이 지났다고 해서 사람들은 상한 음식, 못 먹게 된 음식이라고 생각을 하지만 음식에 따른 관리만 잘 이루어졌다면 기한이 지나고 난 후에도 충분하게 섭취를 할 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유통기한의 정확한 뜻은 무엇일까요? 유통기한은 해당 식품을 소비자에게 판매를 할 수 있는 법적인 기간을 뜻합니다. 즉, 유통기한이 지난 상품은 가게에서 판매를 할 수가 없으며 진열을 해두어서는 안됩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소비가한을 의미하는데 이는 유통기한이 지난 시점에 섭취를 해도 건강에 큰 이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기간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즉, 유통기한이 아니라 소비기간이 섭취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간이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유통기한을 신경 쓰게 되는 대표적인 식품으로 우유가 있습니다. 우유는 유통기한이 짧은 식품인 만큼 개봉하지도 못한채 그대로 버리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아직까지 않은 우유, 소비기간은 얼마나 될까요? 약 50일 정도가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50일이라는 근거는 제품 관리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설명란의 제품 보관 방법에 대해 꼼꼼하게 읽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계란도 유통기한이 짧은 식품 중 하나이죠. 계란을 사게 되면 한판을 사게 되는데 그 때문에 많은 계란을 버리게 되는 경우도 적지 않게 있습니다. 계란의 소비기간은 유통기간 후 3주 정도의 시간입니다. 식빵 또한 소비기간이 6-20일 정도로 천지차이가 날 수가 있습니다. 


두부는 소비기간이 유통기간이 지난 후 3개월입니다. 조건은 미개봉시 상품설명란에 적혀 있는 보관을 했을 경우 90일이 지난 시점에도 두부를 섭취를 할 수가 있습니다. 캔 종류는 최대 10년까지도 보관을 할 수가 있는 상품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그 동안 짧은 유통기한으로 버리기만 급급했던 음식, 이처럼 오래 보관을 하고 먹을 수가 있는데요. 유통기한이 중요하기보다는 소비기간을 꼼꼼하게 따져보고 섭취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탈이 나지 않을 수 있도록 보관 방법 꼼꼼하게 살펴보고 꼭 섭취를 해보시길 바랍니다.